반응형 사회복지 정보8 일정표 달력, 체크리스트 손 쉽게 사용하기 오늘은 업무에 사용하기 편리한 일정표 달력, 체크리스트 등으로 이용할 수 있는 도구를 소개하려고 합니다. 실제 제가 업무용 컴퓨터에서 사용하고 있기도 하고, 최근에는 집 노트북에도 설치해서 활용하고 있습니다. 참고로 컴퓨터용이라는 것을 염두에 두시고 글을 읽으시면 됩니다. 컴퓨터용으로 알고 찾아오신 분들은 잘 오셨습니다. 먼저 일정표 달력을 캡처해봤습니다. 위와 같이 일반적인 달력으로 활용이 가능합니다. 크기도 조절할 수 있는데, 프로그램을 설치한 후에 초기 세팅을 잘해놓으시면 본인의 스타일에 맞도록 변형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일정표로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오늘의 일정을 써봤습니다. 블로그 글쓰기와 사회복지 글쓰기 총 두 가지로 일정을 잡았습니다. 오전 중에 사회복지 관련 글쓰기는 성공했기 .. 2021. 8. 16. 사회복지사 월급 서울시 기준은 다르다 사회복지사를 준비하시는 분들에게 무엇보다 궁금한 건 월급이 아닐까 합니다. "과연 이 직업이 나의 노후를 책임질 만큼의 돈이 되는가?" "이 직업으로 어느정도의 생활을 할 수 있을 것인가?" 이러한 물음 외에도 단순히 '저 직업은 얼마나 벌까'라는 단순한 궁금증에서도 사회복지사의 월급이 궁금할 수 있겠습니다. 물론 월급보다 어떤 일을 하는지, 어떤 가치를 가지고 있는지가 더 중요한 분들도 있겠지만요. 저는 현직자로서 현실적인 이야기에 더 초점을 맞춰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1. 급여 기준의 두 가지 경우 2.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비교 직급 기준 3. 서울시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인건비 지급기준 4. 서울시 수당지급 기준 급여 기준의 두 가지 경우 사회복지사 월급의 원천은 보조금입니다. 즉, 국가의 돈이자 .. 2021. 8. 16. 생활보호대상자(기초생활수급자) 조건 생활보호대상자는 흔히 저소득층으로 국가의 공적지원을 받고 있는 사람을 말하는데요. 사실상 지금에 와서는 잘 쓰지 않는 말입니다. 왜 잘 쓰지 않냐라고 물으신다면? 이제는 기초생활수급자라는 말로 바뀌었기 때문입니다. 그러니까 생활보호대상자라는 단어가 더 익숙하겠지만 이제부터는 기초생활수급자로 알고 사용하시면 되겠습니다. 기초생활수급자란? 기초생활수급자는 '여러 사유로 인해 소득이 낮아 공적부조(공적지원)을 받고 있는 사람'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여러 사유란 정말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는데요. 근로능력이 없어 소득이 일체 없는 사람들이 이에 해당됩니다. 대표적으로 65세 이상 어르신 중에 국민연금을 받지 못하고, 근로도 하지 않으면 대부분 기초생활수급자로 선정이 됩니다. 또한, 질병으로 인해 근로.. 2021. 8. 14. 기준중위소득 총정리(2021년 중위소득 100% 등) 기준 중위소득이란? 지금은 중위소득이라는 개념이 대중화되어 있지만 불과 몇 년 전만 해도 중위소득 자체를 낯설어하는 사람들이 대부분이었습니다. 그리고 중위소득을 들어는 봤지만 여전히 중위소득의 개념을 확실히 모르는 분들도 있지요. 오늘 딱 정리해드리겠습니다. 중위소득이란 소득의 가장 중간값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상상을 한 번 해봅시다. 대한민국의 중위소득을 구하기 위해서는 모든 사람을 소득 순위에 따라 1열로 쭉 세웁니다. 그리고 평균값에 상관없이 가장 중간에 있는 사람의 소득이 중위소득 값으로 채택되는 것입니다. 그러니 당연하게도 평균값과는 차이가 있습니다. 중위소득과 평균소득의 차이 확실한 이해를 돕기 위해서 질문을 던져보겠습니다. 일반적으로 양극화가 심화된 사회에서는 평균값이 현실을 더 객관적으로.. 2021. 8. 11.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