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티끌모아 재테크

하나금융지주 배당금 분기배당 최강자

by 통하는 정보 2022. 2. 6.
반응형

오늘은 하나금융지주 배당금을 짚어보도록 하겠습니다.

 

하나금융지주는 하나은행이라고 이해하시면 쉬운데요. 여러 사업부가 있지만 하나은행이 매출에 가장 큰 지분을 차지하고 있을 겁니다.

 

하나금융지주 배당금의 경우 가장 많은 이슈를 차지하는 것이 분기배당인데요. 우리나라는 결산배당의 성격이 강하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즉, 1년에 한 번만 배당금을 지급한다는 것이죠. 하지만 하나금융지주는 은행권에서 몇 없는 분기배당을 먼저 실시한 회사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미국의 경우 주주가치 제고, 주가관리 등을 위해 분기배당이 활성화되어있지만 분기배당의 황무지 같은 국내 주식시장에서 하나금융지주는 가뭄에 단비 같은 존재였습니다. 특히 결산배당의 성격이 강한 금융주 중에서는 선구자라고 할 만큼 분기배당으로 주주들에게는 좋은 이미지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물론 나중에 살펴보겠지만 온전한 수준의 분기배당금을 지급하지는 않습니다만 그래도 분기배당을 적극적으로 실시하고 있다는 점만으로도 주목을 끌기에는 충분합니다.

 

그러면 하나금융지주의 최근 3년 배당금 지급내역을 살펴보고, 공시를 통해 간단한 분석을 해보고, 올해 지급될 2021년 배당금을 예상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최근 3년 배당금 내역을 살펴볼텐데요. 이 자료는 네이버 금융을 기반으로 작성되었다는 것을 알려드립니다.

 

이 자료가 간략한 기업실적분석표인데요. 실적은 2019년부터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은행권이야 오히려 코로나19 특수를 누리고 있는 업종이니 앞으로의 전망도 굉장히 밝다고 할 수 있겠네요.

 

최근 3년 배당금 내역

  • 2018년 1,900원
  • 2019년 2,100원
  • 2020년 1,850원

 

최근 3년 간 배당금 내역입니다. 2019년에 2,000원을 넘는 최고 배당금을 지급했습니다. 배당금은 차후 연도에 지급이 되기 때문에 2018년 배당금은 2019년에, 2019년 배당금은 2020년에 지급을 받는 형식입니다. 다만 분기배당의 경우 해당 연도에 받을 수 있습니다.

 

하나금융지주는 분기배당 선구자답게 2021년에도 분기배당을 한 차례 실시했습니다. 분기배당이라고 해서 매 분기마다 지급하는 건 아니고 거의 반기배당의 성격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700원 수준의 주당 배당금을 지급해주었고, 당시 시가배당률은 1.5% 수준입니다. 배당금 총액은 2천억 원 정도였고, 2021년 6월 30일까지 해당 주식에 대한 권리를 가지고 있는 주주는 배당금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

 

올해 지급받을 배당금에는 2021년 중간배당도 포함된 금액이라는 것을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최근 3년 배당수익률(시가배당율)

  • 2018년 5.24%
  • 2019년 5.69%
  • 2020년 5.36%

우리에게 중요한 건 배당금이기도 하지만 투자 대비 성과를 볼 수 있는 배당수익률입니다. 하나금융지주는 5%대의 배당수익률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2019년이 2,000원대로 가장 높은 배당금을 지급했던 것과 같이 2019년 배당수익률이 5.69%로 가장 큰 수준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5%대의 배당수익률은 100만 원을 투자했을 때 5만 원의 배당금을 지급받을 수 있다는 뜻입니다. 기본적으로 예금보다 높은 수준이고, 주가 상승을 통한 이익실현도 가능합니다. 또한, 배당금의 경우 배당기준일에만 해당 주식의 권리를 갖고 있으면 받을 수 있기 때문에 타이밍만 잘 맞추면 잠깐의 여윳돈으로도 배당금을 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다만 배당기준일이 임박했을 때는 이미 주가가 높아진 시기임을 명심하셔야 합니다.

 

금융주 투자는 해보고 싶지만 아직 주식계좌가 없는 분들은 증권사마다 하고 있는 이벤트를 참고하셔서 투자를 시작해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한국투자증권 비대면 계좌 개설 추첨 이벤트

SK증권 비대면 계좌개설 파격 이벤트

삼성증권 비대면 계좌개설 돈 되는 이벤트

 

하나금융지주의 1년 배당금 공시를 살펴보면 분기배당의 왕답게 내역이 많기도 합니다. 엄밀하게 말하자면 자회사인 하나은행과 하나금융투자 배당금 공시도 있기 때문에 실제로는 많지 않은 수준이지만 자회사도 분기배당을 지속할 만큼 분기배당에 진심인 회사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올해 배당금 수준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작년 결산배당 공시를 봐야 되는데요. 작년 결산배당으로는 1,350원의 배당금을 지급했고, 당시 시가배당률로는 3.8%에 해당했습니다. 결산배당이니 당연히 배당기준일은 2020년 12월 31일입니다.

 

배당금은 주주총회 다음에 지급되기 때문에 다른 은행들의 배당금과 같이 4월쯤 해서 지급이 되었습니다.

 

앞서 2020년 배당금이 1,850원인데 공시와는 차이가 있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은 저의 글을 다시 읽어보시기를 추천드립니다. 1,850원은 2020년 지급한 모든 배당금의 총액을 말합니다. 그러니까 2020년에는 중간배당으로 500원을 지급했다는 것을 알 수 있죠.

 

2021년 배당금 예상

항상 말씀드리지만 아직까지는 결산배당 공시가 나오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확정적으로 2021년 결산배당 금액이 얼마에 지급될 겁니다라고 말씀드리지는 못합니다. 다만 이전 자료들을 참고하고, 분석하여 증권사 애널리스트들이 예상한 금액을 알려드릴 뿐입니다. 근데 신기하게 애널리스트들의 예상에서 크게 벗어나지는 않더군요.

 

2021년 하나금융지주의 배당금은 2,800원 정도가 될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습니다. 이는 분기배당을 포함한 금액입니다. 즉, 2021년 한차례 700원의 배당금을 지급했으니 2,100원의 결산배당금이 지급될 수 있다는 분석입니다.

 

차트를 보시면 아시겠지만 하나금융지주는 분기배당의 영향 때문인지 상승세는 아니었습니다. 긍정적으로 해석하자면 그만큼 등락이 크지 않은 안정성이 있는 종목이라고 할 수 있겠네요.

 

현재 주가가 46,000원이니까 2,800원의 배당금 지급이 된다고 가정하면 5% 이상의 배당수익률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금융주의 종류는 굉장히 다양합니다. 증권사도 금융주에 포함된다고 할 수 있는데요. 내용들 참고하셔서 자신에게 맞는 투자처를 찾으시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우리금융지주 배당금 깔끔정리

오늘은 우리금융지주 배당금을 깔끔하게 정리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우리금융지주는 우리은행이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우리금융지주는 지주회사로 종속회사로 우리은행, 우리 카드

sasasosocial.tistory.com

 

신한지주 배당금 정리

오늘은 신한지주 배당금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신한지주는 모두가 아시다시피 신한은행입니다. 즉, 신한은행 배당금을 정리하는 것으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신한지주는 소위 말하는

sasasosocial.tistory.com

 

한국투자증권 비대면 계좌개설 추첨 이벤트

오늘은 한국투자증권 비대면 계좌 개설 이벤트를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한국투자증권은 증권사에서는 꽤나 알려진 편이죠. 특히 '한국'이라는 증권사 명을 갖고 있으니 우리나라를 대표하

sasasosocial.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