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지금 세계 경제의 최대 이슈가 되고 있는 미국 금리 인상을 다뤄볼까 합니다.
사실상 미국의 금리인상은 모두가 예상하고 있었던 결과였습니다. 인플레이션에 대한 위기가 고조되면서 작년 말부터 계속해서 금리인상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었고, 미국 금리를 결정하는 FOMC에서도 이에 동의하는 표현이 많이 나왔습니다.
이 사실을 몰랐다면 단지 우리가 경제에 관해 무지했던 것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한국의 금리인상
미국의 금리인상이 결정되기 전에 한국에서는 선제적으로 금리인상을 단행했습니다. 지난번 기억을 떠올려보면 부동산 가격이 폭등함에 대출규제가 심해지면서 금리인상이 되었기 때문에 금리인상이 부동산 가격 억제 정책인 것처럼 대두되었지만 장기적으로 봤을 때 미국의 금리인상 가능성과 인플레이션에 대한 위험성으로 인해 한국의 기준금리가 인상된 것이라고 보는 게 더 옳은 해석인 것으로 보입니다.
우리나라는 위의 표에서 볼 수 있듯이 지난 21년 8월 기준금리를 0.5%에서 0.75%로 올렸습니다. 이후 기준금리는 더 올라 현재 1.25%까지 올라와있죠.
덕분에 은행권에서는 이전보다는 훨씬 높은 적금과 예금 상품이 쏟아져 나왔었습니다. 반면 대출 금리 역시도 더 높아지게 됐죠. 자신이 돈을 예치해야 하는지, 대출해야하는지에 따라 기준금리 인상을 받아들이는 느낌이 다를 거라고 봅니다.
이후에 살펴보겠지만 이번 미국 금리인상은 한 번으로 그치지는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2022년 내에 몇 차례 더 기준금리를 올리겠다고 예고를 한 상태이기 때문에 향후 금리가 더 내려가지는 않을 겁니다. 당연히 우리나라의 상황도 마찬가지이겠죠.
그래서 많은 분들이 지금 2~3년 기간의 예금이나 적금을 가입하는 건 현재 경제상황을 잘 모르기 때문이라고 말하기도 합니다. 일부 동의합니다만 그러면 예금과 적금을 들어야 하는 타이밍은 언제인지 아무도 가르쳐주지 않는다는 게 난센스입니다.
저는 신중하게 지켜보아야 하겠지만 이벤트성으로 나오는 예금과 적금은 여유가 있으면 개설해도 된다고 생각합니다.
미국 금리인상에 대하여
드디어 오늘의 본론입니다. 미국은 금리인상을 공식적으로 발표했는데요 핵심 내용을 꼽아보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1) 금리인상한다. 0.25%에서 0.5%로
2) 2022년 내에 금리인상 6차례 더 할 계획이다. 연말에는 1.9%에 맞추겠다.
3) 매파적인 기조로 운영하겠다.
현재 기사로 나온 내용을 추려보면 이렇게 세 가지입니다. 2번과 3번은 내용이 겹치는 부분이 있으니 한 번에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첫 번째로 미국이 금리인상을 공식화했다는 것입니다.
미국은 3년 3개월 만에 금리인상을 단행했다고 하는데요. 금리인상 차트가 바닥을 찍다가 이제 좀 올라오는 모양새를 보이고 있네요.
발표된 내용을 보면 3%까지 올리자는 의원도 있었고, 0.5%는 올려야 된다는 의견도 있었다고 하는데, 급격한 인상보다는 점진적인 금리인상에 중점을 둔 결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래도 여전히 낮기는 합니다.
두 번째와 세 번째는 미국 금리인상의 향후 방향성입니다. 매파적이라고 하는 것은 비둘기파적과 대조적인 말인데요. 다소 공격적인 성향을 나타냅니다. 즉, 앞으로도 금리인상을 계속해나가겠다는 것이죠. 금리인상과 아울러 긴축을 단행하겠다는 이야기도 됩니다.
금리인상과 주식시장
또 하나의 관심사는 금리인상이 주식시장에 어떤 영향을 줄 것인가에 대한 내용입니다.
사실 금리가 인상되면 은행으로 유동자금이 몰릴 수 있고, 대출받아서 투자하는 기업은 위축되기 때문에 주식시장은 하락할 것으로 생각하는 분들이 많은데요. 세상은 언제나 뻔한 길로만 가지는 않습니다.
전체적으로 보면 금리인상기에 주가는 동반성장을 했습니다. 금리가 인상된다는 것은 경기가 좋아지고 있다는 신호로 받아들이기 때문이죠. 다만 이번에는 경기가 좋아지고 있는가에 대해 의문이 남기는 합니다.
하지만 재미있게도 금리인상이 발표되는 시점에서 미국의 주식시장은 급등을 보였습니다. 아울러 국내 주식시장 역시도 높은 상승을 보이고 있습니다. 과연 얼마나 비례적인 관계일지는 모르겠으나 현재로서는 금리인상이 주식시장에 악재라고 보이지는 않습니다.
짧은 지식으로 미국 금리인상에 대한 생각을 나눠봤는데요.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비대면증권계좌개설 이벤트 추천 3가지
오늘은 비대면 증권계좌 개설 이벤트 중 추천할 만한 내용들을 정리해서 여러분에게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사실 대부분의 증권사에서는 아주 예전부터 주식계좌 개설 이벤트를 진행하고 있습
sasasosocial.tistory.com
'티끌모아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KB국민행복적금, 국민은행 근로장려금 적금(이율 연 4.85%) (0) | 2022.03.20 |
---|---|
토스뱅크 파킹통장 하루 이자받는 방법 (0) | 2022.03.18 |
연말정산 환급금 지급일 언제일까? (0) | 2022.03.15 |
비대면증권계좌개설 이벤트 추천 3가지 (0) | 2022.03.06 |
근로장려금 신청방법 따라하기만 하면 끝! (0) | 2022.03.05 |
댓글